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BCG 예방접종과 관리법 및 이상반응 체크리스트, 꼭 알아두세요!

by Health Book 2025. 2. 12.

결핵은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감염병 중 하나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와 영유아에게는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BCG 예방접종은 이러한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며, 국가 필수 예방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BCG 예방접종의 중요성, 접종 시기, 효과, 접종 후 주의사항 및 비용 정보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BCG 예방접종 가이드

BCG 예방접종
BCG 예방접종

 

1. BCG 예방접종이란? (결핵 예방의 첫걸음)

 

1.1 BCG 예방접종의 정의

 

BCG(Bacillus Calmette-Guérin) 예방접종은 결핵 예방을 위한 살아있는 약독화 백신으로, 신생아 및 영유아의 결핵성 뇌수막염 및 속립성 결핵(밀리어리 결핵)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1.2 BCG 접종의 주요 특징

 

1. 결핵 발병률을 80% 감소시켜 줌

2. 접종 후 10년 이상 효과 지속

3. 생후 4주 이내 접종이 가장 효과적

4.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되어 피내용 백신 무료 접종 가능

반응형

2. BCG 예방접종의 접종 시기 및 대상

 

2.1 기본 접종 일정

 

접종 대상

• 모든 신생아 (금기사항이 없는 경우)

• 생후 4주 이내 접종 권장

• 미접종 초등학생(1학년 이하)도 추가 접종 가능

 

접종 시기

• 1차 접종: 생후 4주 이내

• 추가 접종: 필요 없음

 

일부 국가에서는 BCG 추가 접종을 권장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1회 접종만으로 충분한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반응형

3. BCG 예방접종 방법: 피내용 vs. 경피용

 

BCG 접종은 크게 피내용(주사)과 경피용(도장) 접종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3.1 피내용 BCG 접종 (주사 방식, 국가 무료 지원)

 

1. 접종 방법: 얇은 바늘을 이용하여 피부에 주사

2. 접종 부위: 왼쪽 팔 삼각근 부위

3. 용량:

• 생후 12개월 미만: 0.05ml

• 생후 12개월 이상: 0.1ml

4. 특징: 면역 효과가 뛰어나며, 우리나라에서 공식 권장

 

3.2 경피용 BCG 접종 (도장 방식, 개별 유료 접종)

 

1. 접종 방법: 피부 표면에 백신을 도포한 후 도장처럼 눌러 접종

2. 접종 부위: 왼쪽 팔 삼각근 부위

3. 특징: 통증이 적고, 흉터 발생이 적은 편

 

대한민국에서는 피내용 BCG 접종이 국가 무료 접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피용 BCG는 개인 비용 부담이 발생합니다.

 

반응형

4. BCG 예방접종 비용 및 접종 기관

 

4.1 무료 접종 (국가 지원 대상)

 

1. 대상: 피내용 BCG 접종을 받는 모든 신생아

2. 접종 기관: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

3. 준비물: 예방접종수첩, 보호자 신분증

 

4.2 유료 접종 (경피용 BCG 선택 시)

 

1. 대상: 경피용 BCG를 원하는 보호자 선택 가능

2. 비용: 약 70,000원 (병원별 차이 있음)

3. 접종 기관: 일부 소아과 및 종합병원

4. 특이사항: 경피용은 국가 지원 대상이 아니므로 개별 비용 부담

 

보건소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피내용 BCG 백신이 면역 효과가 더 뛰어나므로, 굳이 유료 경피용을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응형

5. BCG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BCG 백신 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5.1 접종 직후 주의사항

 

1. 접종 부위를 문지르거나 압박하지 않기

2. 접종 후 즉시 귀가 가능하지만, 심한 울음이나 과민반응이 있을 경우 병원 대기 권장

3. 접종 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지

 

5.2 장기 관리 방법

 

1. 23주 동안 접종 부위를 물에 오래 담그지 않기

2. 약 23개월 후 접종 부위에 작은 상처(가피)가 생기며 자연적으로 아물게 됨

3. 이상반응이 의심될 경우 병원 상담 필수

 

BCG 접종 후 상처(가피)는 정상적인 면역 반응이며, 억지로 떼어내지 않아야 합니다.

 

반응형

6. BCG 접종 전 체크리스트 & 금기사항

 

6.1 접종 전 체크리스트

 

1. 발열 여부 (37.5℃ 이상이면 접종 연기)

2. 급성 감염성 질환 유무

3. 면역저하 상태 여부 (선천성 면역결핍증 등)

4. 이전 예방접종에서 이상반응 경험 여부

 

6.2 접종 금기 대상자

 

1. 선천성 면역결핍 환자

2. 항암 치료 중이거나 면역억제제 복용 중인 경우

3. HIV 감염 확진 또는 의심되는 영아

 

위 금기사항이 있는 경우, 담당 소아과 전문의와 반드시 상담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반응형

7. BCG 접종 후 반응과 이상반응 대처법

 

7.1 정상적인 접종 반응

 

1. 23주 후 접종 부위에 붉은 발적 발생

2. 6주 후 작은 결절이 형성됨

3. 23개월 후 결절이 가피(딱지)로 변하며 자연스럽게 아물게 됨

 

7.2 비정상 반응 (즉시 병원 방문 필요)

 

1. 39℃ 이상의 고열 발생

2. 접종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분비물 배출

3. 과도한 염증 반응으로 고름 형성

4. 겨드랑이 림프절이 붓고 통증이 지속됨

 

정상적인 면역 반응과 이상반응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세요.

 

반응형

포스팅을 마무리하며

 

BCG 예방접종은 신생아의 결핵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적절한 시기에 접종하고, 접종 후 올바르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호자는 아이의 건강을 위해 예방접종 일정과 접종 후 관리 사항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결핵은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적기 접종으로 우리 아이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home top bottom